공룡을 죽이는 소행성에서 나온 52피트 높이의 '거대 잔물결'이 루이지애나 밑에 숨어 있습니다
5층 건물 높이의 고대 "메가리플(megaripple)"이 루이지애나 깊은 곳에 숨어 있으며, 이들의 독특한 지질학적 특징은 비조류 공룡을 죽인 소행성 충돌 직후에 형성되었다는 것을 새로운 연구에서 밝혀냈다.
52피트(16미터) 높이의 거대 잔물결은 루이지애나 중북부의 아이트 호수(Iatt Lake) 지역 아래 약 5,000미터에 있으며, 그 날짜는 1,500만년 전 백악기 말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연구원들은 물 속에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거대 잔물결의 크기와 방향은 칙술루브 소행성으로 알려진 거대한 우주 암석이 유카탄 반도에 충돌하여 칙술루브 충격 쓰나미가 발생한 후에 형성되었음을 암시하며, 그 파도는 더 얕은 물로 돌진하여 해저에 거대 잔물결 자국을 만들었습니다. , 연구원들은 말했다.
"그 정도 크기의 잔물결이 발생한다는 것은 매우 큰 무언가가 물기둥을 교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라고 라파예트에 있는 루이지애나 대학교 지구과학부 교수이자 연구 수석 연구원인 Gary Kinsland가 Live Science에 말했습니다. "이것은 Chicxulub 충돌이 백악기를 끝냈다는 추가적인 증거일 뿐입니다."
관련 항목: 이미지: 북미가 대륙으로 성장한 방법
이 프로젝트는 에너지 기업 Devon Energy가 Iatt Lake에 대한 3D 지진 조사를 수행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지진 조사에는 큰 음파(종종 "폭발물 또는 큰 쿵"으로 만들어짐)를 생성하고 다양한 지하 암석층에 부딪힐 때 반사되는 되돌아오는 음파를 포착할 수 있는 표면 감지기를 해당 지역 주변에 배치하는 작업이 수반됩니다. 이러한 음파의 데이터를 통해 연구자들은 지하 지질학의 지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당시 루이지애나 대학교 라파예트 캠퍼스에서 석유 지질학 석사 과정을 밟고 있던 연구 공동 연구원 Kaare Egedahl은 데본 에너지 데이터를 가져와 지하 지역의 지진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 “Kaare가 그것을 나에게 가져왔고 그는 '이게 뭐지?'라고 말했습니다. 바다나 강가에 쌓인 퇴적물에서 볼 수 있는 것과는 너무나 다르기 때문입니다.”라고 Kinsland는 말했습니다. “보고 나서 '맙소사'라고 느꼈어요.”
연구 공동 연구원인 Kaare Egedahl이 석사 논문을 위해 만든 흑백 거대 잔물결 지진 이미지입니다. 지진 이미지는 약 11 x 7마일(18 x 11km)의 영역을 포함합니다.
연구 공동 연구원인 Kaare Egedahl이 석사 논문을 위해 만든 흑백 거대 잔물결 지진 이미지입니다. 지진 이미지는 약 11 x 7마일(18 x 11km)의 영역을 포함합니다. (이미지 출처: Kinsland, GL. et al.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2021); Kaare Egedahl)
Kinsland는 이전에 Chicxulub 충돌 분화구를 연구했습니다. 그는 지진 영상을 보면서 “잔물결을 즉시 보았고, 물이 [파문을 만들기 위해] 이동해야 했던 방향을 즉시 알았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거꾸로 가면 바로 칙술루브에서 뛰는 줄 알았어."
Kinsland는 거대 잔물결이 비대칭이기 때문에 쓰나미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거대 잔물결이 만들어졌을 때 물이 흐르는 방향을 보여줍니다. 이 경우 거대 잔물결의 길고 비대칭적인 측면은 남남동쪽을 향한 경사를 가지며 이는 Chicxulub 충돌 분화구를 다시 가리킨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이 지도는 칙술루브 충돌 분화구(빨간색 화살표)와 66만년 전 소행성이 충돌했을 때 발생한 쓰나미로 인해 남겨졌을 가능성이 있는 새로 발견된 메가리플(빨간색 별)의 위치를 보여줍니다. 숫자는 이번 사건으로 인해 이전에 확인된 쓰나미 퇴적물을 나타냅니다.
이 지도는 칙술루브 충돌 분화구(빨간색 화살표)와 66만년 전 소행성이 충돌했을 때 발생한 쓰나미로 인해 남겨졌을 가능성이 있는 새로 발견된 메가리플(빨간색 별)의 위치를 보여줍니다. 숫자는 이전에 이번 사건으로 인해 확인된 쓰나미 퇴적물을 나타냅니다. (이미지 출처: Kinsland, GL. et al.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2021); Ron Blakey/Colorado Plateau Geosystems의 원본 기본 지도; Nina Zamanialavijeh)
메가리플의 평균 파장(한 마루에서 다음 마루까지)은 1,968m(600피트)입니다. 이는 52피트 높이의 진폭과 결합되어 "지구상에서 기록된 가장 큰 잔물결"이 된다고 연구원들은 연구에서 썼습니다.
더욱이, 이 거대 잔물결은 66천XNUMX백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백악기/고기 지질 경계의 꼭대기에 있으며, 칙술루브 충돌의 여파로 튀어 나온 잔해 층 아래에 놓여 있다고 연구진은 연구에서 썼습니다.
관련 항목: 파괴의 파도: 역사상 가장 큰 쓰나미
메가리플은 어떻게 지속됐는가?
거대 잔물결은 66만 년 전 우주 암석이 지구를 강타한 후 쓰나미가 멕시코만을 가로질러 몰려와 “현재 루이지애나 중부 지역에 있는 멕시코 만의 갑작스러운 얕아짐에 도달”하면서 해안으로 밀려나갔음을 나타냅니다. 연구자들은 연구에 썼습니다. "북북동쪽으로 대륙붕 지역을 흐르는 물의 맥동으로 인해 지진 데이터에 이미지화되는 비대칭 거대 잔물결이 생성되었습니다."
그러나 모래사장에 파도가 남긴 작은 잔물결은 오래가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메가리플이 66만년 동안 지속되었을까요?
쓰나미가 거대 잔물결을 만든 후에도 물 속에 남아 있었습니다. Kinsland는 폭풍이 멕시코만을 휩쓸었을 때 거대 잔물결이 방해받지 않을 정도로 물속이 충분히 깊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런 다음 거대 잔물결은 팔레오세 시대(5만~66만년 전) 동안 약 56만년에 걸쳐 셰일(본질적으로 점토와 광물 조각이 혼합된 진흙으로 만들어진 퇴적암)에 묻혀 있었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 나중에 그 셰일은 훨씬 더 어린 퇴적물로 덮여 있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